따오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1950년대 이전까지 따오기는 동아시아, 특히 한국 전역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철새였다.
문헌 자료에 따르면 19세기 말 폴란드 조류학자가 서울 근교에서 50여 마리의 따오기를 관찰했으며,
영국 외교관은 따오기를 '한국에서 흔한 새', '쉽게 사냥할 수 있는 새'로 표현한 기록도 있다.
그러나 한국 전쟁 이후 급격하게 이뤄진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다가
1970년대 파주 부근에서의 목격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야생에서는 따오기를 찾아볼 수 없게 됐다.
그러다 2008년 중국에서 따오기 2마리를 우리나라에 기증했고,
경남 창녕군에서 따오기를 야생에 다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야생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
이후 지금까지 창녕군 우포늪 따오기복원센터에서 태어난 따오기는 총 642마리,
그중 340마리가 야생으로 방사됐다.
현재 120마리 정도가 우포늪 근처에 자리잡고 살고 있고,
일부는 다른 지역으로 흩어졌다.
출처 : 뉴스펭귄(http://www.newspenguin.com)
경남 창녕에서 방사된 따오기 한 마리가 시흥 관곡지에서
왜가리 무리와 함께 어울려 사는 것이 목격된 후에
많은 분들이 찾었던 것 같다.
그 시기에 물수리를 쫓아다니다가 잠시 시간을 내서 찾아가면,
인연이 안되는지 계속 허탕 친 따오기를 이번에 만나 보게 되었다.
시흥갯골생태공원의 갯골에 있다는 정보를 얻고 찾아갔는데
지난주에도 허탕을 치고, 다시 찾은 이번 주는 포클레인이 흙을 뒤집는
갯골 뒤의 연밭에서 먹이 활동을 하러 온 따오기를 처음 담아 보게 되었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자리를 잡다가 다가서면
쉽게 거리를 주지 않고 날아가버려, 사진을 담기가 애를 먹는데
연밭에서 흙을 뒤집는 작업을 하는 인부들이 떠나는 퇴근시간에
따오기나 왜가리가 몰려온 것 같다.
최대한 낮게 오리걸음을 해서 접근을 해 가깝게
사진을 담아 보았지만, 눈앞에 먹잇감의 욕심에 따오기가
그나마 허락한 거리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따오기 짝짓기 시절에 창녕에 내려가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 보았지만
왜가리 무리 속에서 왜가리를 짝으로 여기는 것이 아닌지 걱정이 되면서
어서 제짝을 만나 둘이 다니는 모습을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목록
계보몽님의 댓글

따오기의 이력을 잘 들었습니다 참으로 귀한 새군요
왜가리와 같이 있으니 암수인줄 알았습니다
우아한 자태로 날으는 따오기가 한 폭의 그림 같습니다
앞으로 순혈의 따오기를 보기도 힘들 듯 하네요
모든 종이 시간이 가면서 다 변화해 가는 것 같습니다
하루 이틀을 견디면서도 기어코 잡아낸 귀한 장면들
언제 또 볼 수 있을까하는 진귀한 장면들
등대님이 아니면 도저히 잡을 수 없는 영상들 귀하게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등대님!
밤하늘의등대님의 댓글의 댓글

따옥따옥 , 따오기 동요의 가사에 나올 만큼 흔한 새었던 것 같은데.
어느 사이에 멸종이 되고, 복원사업을 통한 복원으로 이렇게나마
볼 수 있는 것이 다행이겠지요!
일본에서 한국을 거쳐 중국으로 다시 거꾸로 가는 여정을
철새인 따오기가 그 야생을 잃고 텃새가 되어 버린 것 같습니다.
세월이 지나면 다시 그렇게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안박사님의 댓글

#.*밤하늘의`등대* PHoto-作家님!!!
"등대"作家님의 作品으로,貴한 "따오기"貌襲을 만나봅니다..
"계보몽"詩人님의 말씀처럼,"왜가리"와 夫婦사이 인줄로 錯覺도..
이름만을 記憶하던 想想의 "따오기"를,"등대"任의 德澤으로 解遇를..
"등대"寫眞作家님!"왜가리`따오기"映像에,感謝드리며.. 늘,康`寧하세要!^*^
밤하늘의등대님의 댓글의 댓글

종이 다른 따오기를 무리에 포함시켜 같이 지내는 왜가리 무리 속에
유별나게 따오기와 더 친하게 지내는 왜가리 한 마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봄이 되면 모든 조류가 짝짓기 하듯이 우포늪의 나무 위에서
짝짓기를 하는 따오기를 볼 수 있는데, 시간과 여건이 허락되면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물가에아이님의 댓글

물가에도 우포늪에 가면 가까이에서 따오기를 담을 수 잇다고 해서
한번 갔었는데 기다리다 기다리다 허탕 치고 온 기억이 있네예
시흥 갯골 생태공원 말만 들어도 먹먹해 지는 곳
새들이 연밭이 있어 먹이감을 얻었네예~
발목에 두르고 있는것이 복원된
따오기 임을 알려주는것 같으네예
덕분에 가까이 있어도 못 만난 따오기를 사진으로 만납니다
참으로 예쁜 새 입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날씨가 막바지 겨울을 나타낸다고 안간힘 이네예
곧 풀리어 따스한 봄이 오겠지예 2월 마무리 잘 하시고 건강 하시길예~
밤하늘의등대님의 댓글의 댓글

창녕에서 담은 사진이 올라올 때, 가보고 싶다는 충동을 억제하기가 힘든데,
이렇듯 시흥 관곡지에서 또는 갯골 생태공원에서 보게 되니
이쪽 진사들이 한때 난리가 난 적이 있습니다.
아직도 이곳에 머물러서 살고 있고, 번식깃이 되어
멋진 색으로 털갈이를 한 모습인 것 같아 또한 아직도 많이 찾으러
다니는 모습입니다...
조복이 안따르다 이렇게 만나니, 사진을 담을 때 꽤나 흥분한 기억이 납니다....^^...
Heosu님의 댓글

어렴풋이 기억나는 게 부산에서도 몇 해 전 도시 한 가운데에서 따오기가
나타나 야단법석을 부린 적이 있거든요..경기도 시흥에서도 발견되었다고 하니
좌우지간 복원된 따오기가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것은 사실인가 봅니다...
일본에서도 멸종되고 나서 복원사업에 힘을 기울인다고 하데요...방사할때는 일본국왕도
참석한다니....우리나라와 많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생존률도 75%정도라 하니 수 년이 지나면
제법 많은 따오기를 볼 수가 있겠구나 기대해 봅니다...귀한 따오기를 볼수가 있어서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밤하늘의등대님의 댓글의 댓글

무분별한 서식지의 환경파괴로 멸종이 된 새가 따오기만이 아니겠지만,
조류나 다른 생물들이 살지 못하는 환경이 된다면, 결국 그곳에 사는
인류도 안심할 수 없는 삶이 되겠지요.
개발과 발전을 하면서도 다른 생물들과 같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