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을 털어놓기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속을 털어놓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59회 작성일 25-04-14 09:03

본문

을 털어놓기   / 엄상익(변호사)   

 

초등학교 시절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있었다. 그는 찢어지게 가난했다. 그리고 가정환경도 비참했다. 책임지지 못할거면서 왜 자기를 낳았느냐고 집을 나간 아버지를 원망하면서 눈물을 흘리던 소년이었다. 그는 돈을 벌면서 대학을 다녔다. 일년 을 벌어 일 년을 다녔다. 팔년 만에 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무역업으로 성공했다. 뉴욕과 홍콩 여의도에 부동산을 가진 부자가 됐다. 주로 외국에서 살기 때문에 거의 보지 못했다. 눈에서 멀어지면 친구 관계가 옅어지는 것 같았다. 몇 년 전 내가 적극적으로 그에게 연락을 해서 만났다.

그는 어린 시절 나의 추억이었다. 그나 나나 나이가 어느새 나이 육십대 중반을 넘겼을 때였다. 그가 어떤 아름다운 색깔로 노년의 여백을 채우는지 궁금해서 물었다.

“사업도 성공하고 돈도 벌었는데 노년을 어떤 즐거움으로 보내시나?”
“노년의 낙이라고 하는 게 여행과 산보 그리고 속을 털어놓는 친구와 만나는 거지.”
“그런 친구가 많은가?”
“거의 없어. 내 고등학교 동창이 삼백명인데 지금 같이 골프를 칠 수 있는 형편이 되는 친구는 오십명 정도야. 그 중에서 같이 치는 친구는 다섯명 정도라고 할까. 그런 친구마저 만나면 비교하고 속을 털어놓지 않아. 그게 내가 가장 싫어하는 거야. 그건 친구가 아니라 지인 정도라고 해야겠지. 학교 때 단짝인 친구가 두 명 있었는데 한 명은 퇴직을 하고 오피스텔 경비를 하고 있어. 다른 한 명은 술만 마시고 백수같이 지내고 있어. 환경이 달라지니까 더 이상 만나기가 힘들어. 동창이고 수십년된 친구고 뭐고 아무런 의미가 없어. 환경이 달라지고 가치관이 차이가 나니까 말이야. 이제는 옛친구라고 만나보면 심드렁하고 부담스러울 때가 많아. 쓸데없는 정치논쟁이나 하고 헤어지고 나면 마음이 개운치가 않아. 돈도 그래. 만나면 밥을 사고 술도 사는데 작은 액수가 아니야. 그 돈을 내가 왜 써야 하냐는 생각이 드는 거야. 차라리 가족하고 맛있는 것 먹고 손주들에게 용돈 주는 게 낫지. 친구 다 소용없어. 그래서 다 정리해 버렸어. 차라리 지금 사는 집의 이웃사람들이 훨씬 좋아. 환경이 비슷하고 서로 속을 털어놓을 수 있으니까 말이야.”

고생을 하면서 세월을 보낸 그의 말 속에는 현실의 체험에서 얻어낸 통찰이 들어있었다. 그가 말을 계속했다.

“우리들이 소년 때에는 매일 만나고 평생 우정을 가지자고 맹세하고 은반지까지 똑같이 만들어 끼었었지? 허허”

우리는 중학 시절 그랬었다. 그는 어린시절의 나를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그가 내게 이런 충고를 했다.

“내 기억으로 너는 외아들 증후군이 있는지 쉽게 속을 털어놓지 않는 성격이었어. 경쟁심이 있어서 남과 비교하기도 하고. 살아보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술을 통해 교류를 하지. 그런데 너는 술을 먹지 못하잖아? 이제부터는 고독을 즐기는 방법을 찾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같은 나이지만 고통이 많았던 그는 어려서도 어른스러웠었다. 그는 항상 먼저 깨닫고 내게 형같이 행동했었다. 그는 젊은 시절의 나를 적나라하게 꿰뚫어 보고 있었다.

나는 그의 말을 듣고 적극적으로 마음 문을 열고 속을 털어놓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속에 뭐가 은밀히 있길래 털어놓지 못했던 것일까. 내가 속을 털어놓는지 아니면 문을 닫아걸고 감추는지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다. 나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며 산 셈이다. 사람들은 속에 무엇이 들어있길래 감추고 숨기고 하는 것일까. 사십년 가까이 변호사를 하면서 사람들이 숨기려고 하는 게 무엇인지 보았다. 양심에 꺼리는 일을 했거나 불륜 같은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걸 숨기는 건 당연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열등감이 있고 자존감이 약한 사람들은 속을 털어놓지 못하고 숨기고 거짓말을 했다. 내 경우 속을 털어놓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면 자존감이 약한 그쪽일 것 같았다.

나는 어둠침침했던 내면의 창문을 열고 햇볕을 받아들이는 연습을 시작했다. 사도 바울은 자랑이 아니라 약점만을 남에게 얘기한다고 했다. 나는 글에서나 사람을 만날 때나 그 누구에게라도 가급적 속을 털어놓기로 했다. 내면에 별로 숨길 것도 없는데 감추고 남에게 보이기를 꺼려했었다. 내가 마음의 빗장을 풀어버리니까 상대방들도 속으로 들어가는 문을 활짝 열어주었다. 이웃이 생기고 늙어서의 친구가 생기는 것 같았다.


며칠 전 저녁 한 언론인을 만났다. 메이저신문의 사회부장을 거친 중진이었다. 서울온 길에 갑자기 그가 생각이 나서 전화를 했다. 특별한 업무가 있어서가 아니다. 그저 잠시 같이 차를 한잔 마시면서 대화를 하고 싶었다. 그는 자신의 다른 계획을 즉각 취소하고 내게로 왔다. 내가 그를 좋아하는 이유는 사회에서 만났어도 속을 털어 놓기 때문이다. 내남없이 인간이란 거기서 거긴데 왜 꽁꽁 숨기려고 했는지 알 수 없다. 인간이란 마음이 흐르는 사람과 친구가 되기 마련이다. 여백이 있어야 남이 들어갈 수 있기도 하다. 젊어서부터 마음 문을 좀 더 활짝 열어 제쳤더라면 많은 친구들이 복을 선물로 가지고 오지 않았을까. 아이들과 손녀 손자에게 그런 지혜를 전해주고 싶다.

 

 

추천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367건 1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공지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 1 08-06
1236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 0 01:34
1236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 0 01:33
1236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 0 01:32
1236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4 0 04-16
12362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 0 04-16
1236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 0 04-15
1236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 0 04-15
1235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 0 04-15
12358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 0 04-15
12357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 0 04-15
12356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 1 04-14
12355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 1 04-14
열람중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 1 04-14
12353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 1 04-14
12352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 1 04-14
1235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 1 04-14
12350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 1 04-14
1234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 1 04-14
1234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 1 04-14
1234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 1 04-14
1234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 1 04-13
1234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 0 04-13
1234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 0 04-13
1234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 0 04-13
12342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 0 04-12
1234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 1 04-12
12340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 0 04-11
12339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 0 04-11
12338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 0 04-11
1233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 0 04-11
1233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 0 04-11
1233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 0 04-11
12334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 0 04-10
1233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 0 04-10
1233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 0 04-10
1233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 1 04-10
1233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 0 04-10
12329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 0 04-09
12328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 0 04-09
1232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 0 04-09
1232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 0 04-09
1232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4 1 04-09
1232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 0 04-08
1232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 0 04-08
1232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 0 04-08
1232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 0 04-08
12320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 0 04-08
12319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 0 04-07
12318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 0 04-07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